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를 처음 배웠을 때 태극기(정확히는 태극만)를 만들었던 시간이 있었습니다. 툴에 대한 이해와 도형의 변형 방법을 배우는 시간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태극기의 규격도 입니다. 국민학교 (지금의 초등학교) 때 이후로 처음 보는 것 같네요. 모든 것이 데이터베이스화된 이 시대에 이런 규격도가 필요할지 모르겠지만, 나라의 상징물이니 어떤 구조로 만들어졌는가 한번 보시죠.
우선 태극을 그려보겠습니다. Ellipse Tool로 가로세로 100mm의 원을 그립니다.
원을 선택하고 ‘메뉴 / Object / Transform / Transform Each’ 명령을 선택합니다.
‘Transform Each’ 창이 열리면 위의 그림과 같이 번호 순서대로 수치를 조정하고 ‘Copy’ 버튼을 선택해 좌측을 기준으로 50% 축소된 원을 하나 더 만듭니다.
50% 축소된 원을 선택하고 ‘메뉴 / Object / Transform / Move...’ 명령을 선택합니다.
‘Move’ 창이 열리면 그림과 같이 수치를 조정하고 ‘Copy’ 버튼을 선택해 오른쪽으로 50mm 이동된 원을 하나 더 만듭니다.
이제 원이 3개가 된 상태입니다. 원을 모두 선택합니다.
툴바에서 ‘Live Paint Bucket’ 툴을 선택합니다.
‘Color’ 패널에서 ‘면’의 색상(아무거나)을 정합니다. 색상을 정하는 이유는 ‘Live Paint Bucket’ 툴을 사용할 때 적용될 색상을 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Live Paint Bucket’ 툴로 원의 안쪽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Color’ 패널에서 정한 색상이 칠해집니다. 모든 곳에 색상을 칠합니다.
‘Live Paint Bucket’ 툴로 색이 칠해진 원을 선택하고 ‘메뉴 / Object / Expand’를 선택합니다.
‘Expand’ 창이 열리면 ‘OK’ 합니다. ‘Live Paint Bucket’ 툴로 색상을 칠한 오브젝트는 ‘Expand’ 명령으로 객체화시켜야 변형이 쉬워집니다.
겹쳐져 있어서 잘 보이지 않지만, 이제 오브젝트의 요소는 선으로만 된 것과 면으로만 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면으로 된 오브젝트만 남기고 선으로 된 것들은 모두 삭제합니다.
이제 오브젝트들을 병합할 차례입니다. 오브젝트들을 선택하고 그룹을 풀어줍니다. (메뉴 / Object / Ungroup)
①번과 같이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Pathfinder 패널’에서 ‘Unite’ 아이콘을 선택해 오브젝트를 병합합니다.
나머지 부분도 ‘Pathfinder 패널’을 이용해 병합합니다. 병합한 후엔 ②번 그림과 같이 될 것입니다.
태극에 색상을 입힙니다. 여기서는 ‘Pantone 가이드’ 값을 이용했습니다.
빨강 : Pantone 186C (C=0, M=100, Y=81, K=4)
파랑 : Pantone 294C (C=100, M=58, Y=0, K=21)
‘Rotate 툴’ 아이콘을 더블클릭합니다. ‘Rotate’ 창이 열립니다.
‘Angle’란에 수치 ‘-33.69’를 입력하고, ‘OK’ 합니다.
태극이 시계방향으로 33.69° 회전되며 태극이 완성됩니다.
이제 건곤감리( 乾坤坎離 )를 만들겠습니다.
- ‘Rectangle 툴’을 이용해 가로세로 100mm의 사각형을 만듭니다.
- 태극기 구성요소 크기의 기준이 되는 것은 태극이고, 위에서 태극의 크기를 100mm로 만들었기 때문에 ‘건곤감리’의 기준이 될 사각형(100mm)을 먼저 만든 것입니다.
‘건곤감리’의 사각형 크기는 기준 크기의 1/3(가로), 1/2(세로)입니다.
100mm의 정사각형을 선택하고 ‘Transform’ 팔레트에서 가로세로 수치입력 부분에 ‘/3’, ‘/2’를 각각 입력합니다. 수치 입력란에 ‘/’을 붙이면 나누기가 되고, ‘*’를 붙이면 곱하기가 됩니다.
100mm의 정사각형이 가로는 1/3로 세로는 1/2 크기로 조정됐습니다.
‘메뉴 / Object / Path / Split Into Grid’ 명령을 선택합니다.
- ‘Split Into Grid’ 창이 열리면 위 그림과 같이 수치를 입력합니다. 이 명령으로 1개의 사각형을 8개의 사각형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룹을 풀어줍니다.
좌에서 우로 3번째와 6번째 사각형을 삭제합니다.
중앙 2개의 사각형 중 1개를 선택합니다.
‘Rotate 툴’을 더블클릭해 ‘Rotate’ 창을 열고, 입력란에 ‘90’을 입력한 후 ‘Copy’ 버튼을 선택해 ‘90° 회전카피’합니다.
모두 선택하고 ‘Pathfinder’ 패널의 ‘Exclude 버튼( ① )’을 선택합니다. ②번과 같이 겹치는 부분이 삭제됩니다.
그룹을 풀고 ③번과 같이 나머지 부분도 삭제합니다. ‘건곤감리’ 중 ‘곤’이 완성됐습니다.
- ‘곤’을 복사해 4개를 만듭니다. 이것들을 이용해 ‘건곤감리’를 만들 것입니다.
①번과 같이 2개의 사각형을 선택하고 ‘메뉴 / Object / Path / Split Into Grid’ 명령을 선택합니다.
‘Split Into Grid’ 창이 열리면 ②번과 같이 수치를 입력합니다. 이렇게 두 곳의 수치를 ‘1’로 하면 여러개의 오브젝트를 1개로 만들 수 있습니다. ③번과 같이 수정됐습니다.
같은 작업을 반복해 ④번처럼 ‘건’을 완성합니다.
위의 설명과 같이 ‘Split Into Grid’ 명령을 이용해 나머지 ‘감리’도 만듭니다.
태극기 전체 크기의 사각형(300×200mm)을 만듭니다.
‘메뉴 / Object / Arrange / Send to Back’ 명령을 선택해 사각형을 제일 뒤로 보냅니다.
태극과 사각형을 모두 선택하고 ‘Align’ 패널의 버튼을 선택해 중앙정렬합니다.
이제 ‘건곤감리’를 위치시킬 차례네요. ‘건곤’을 대충 위치시킵니다.
① ‘태극’과 ‘건곤’을 선택합니다.
② 중앙의 ‘태극’을 한 번 더 클릭합니다. 태극의 선택표시가 강조되어 보이죠? 이렇게 하면 정렬의 기준이 ‘태극’이 됩니다.
‘Align’ 패널에서 ‘Vertical Align Center’ 아이콘을 선택해 가로방향으로 중앙 정렬시킵니다.
이제 ‘태극’과 ‘건곤’ 간의 간격(25mm)을 조정하겠습니다.
기준이 되는 오브젝트가 정해지면 ①번의 ‘Distribute Spacing’의 수치기입란이 활성화됩니다. (평소엔 비활성화 상태입니다.)
수치입력란에 ‘25’를 입력하고 ②번 아이콘을 클릭하여 간격을 25mm로 조정합니다.
‘건곤’만을 선택합니다. ‘Rotate’ 툴을 더블클릭합니다.
‘Rotate’ 창이 열리면 ‘-33.69’를 입력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킵니다.
- 위의 ‘건곤’ 정렬과 같은 방법으로 ‘감리’도 정렬합니다.
① ‘감리’을 대충 위치시킵니다.
② ‘태극’을 기준으로 ‘감리’를 가로방향 중앙 정렬시킵니다.
③ 간격을 25mm로 조정합니다.
④ 반시계 방향으로 33.69 회전시켜 마무리 합니다.
참 오랜만에 올리는 일러스트레이터 강좌네요. 보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 강좌 > 활용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5용 액션 (140929 버젼) (2) | 2014.10.01 |
---|---|
일러스트레이터에서 프레젠테이션용 PNG 파일 저장하기 (5) | 2013.12.16 |
버스 노선도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강좌] (24) | 2013.08.27 |
흐르는 패턴 만들기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0) | 2013.08.26 |
태극기 만들기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2) | 2013.06.30 |
글자에 그라데이션 주기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6) | 2012.10.22 |
일러스트레이터를 jpg 파일로 변환하기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17) | 2012.10.15 |
TIFF 파일 이용하기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2) | 2012.08.09 |
단축키 설정방법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2) | 2012.08.08 |
댓글을 달아 주세요
ㅠㅠㅠ 유용한 자료 정말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거 과제였는데 덕분에 잘 했어요 ㅠㅠ 정말 감사합니다!!!!
2013.10.10 00:22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행복하세요 ^-^
과제요? 어떤 단체에서 태극기 그리는 과제는 내주는지 궁금하군요.^^
2013.10.10 02:00 신고 [ ADDR : EDIT/ DEL ]도움되셨다니 기분 좋네요. 감사합니다. '님'께서도 행복하세요.~